분전반 일반
1.1 기기 및 재료
1.1.1 분전반 일반
분전반은 특기한 것을 제외하고는 KSC 8320(분전반 통칙)에 적합하여야 하며, 전기방식, 개폐기의 종별, 용량 등이 표시된 제작사항을 감독감(감리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는다.
1.1.2 분전반의 재료 및 부품
(1) 분전반은 구조가 튼튼하고, 각 부는 쉽게 헐거워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분전반은 기판에 과전류차단기, 개폐기 등을 배치하고 견고하게 부착하여 보호판 등에 의해 조작이 안전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또한, 배선의 접속, 개폐기의 조작, 퓨즈의 교환등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2) 분전반내에 취부되는 재료와 부품은 다음 표와 같은 KS적용 또는 이외의 제품에 대하여는 감독감(감리원)에게 제작사양을 제출하여 승인을 받는다.
(3) 가터(분배전반의 소형덕트)는 배선이 지장이 없는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내선규정 155-6(항)의 규정에 따라 시설한다.
(4) 문을 열은 상태에 있어서 충전부와 가터는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한다.
(5)충전부의 간격은 다음에 의한다.
(가) 제어회로등의 충전부는 KSC 0704(제어기기의 절연거리, 절연저항 및 내전압)에 의한다.
(나) 충전부와 비충전 금속체와의 간격 및 이극 충전부와의 간격은 공간, 연면공히 10mm 이상으로 한다. 단, 300V를 초과하는 선간전압이 가하여지는 연면 거리에 대하여는 20mm이상으로 한다.
1.1.3 분전반 외함
(1) 분전반 외함(박스, 전면테, 도어 및 커버가 금속제인 것을 말한다)를 구성하는 각 부분은 견고하게 조립되어야 한다.
(2) 외함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박스, 전면테, 도어 보호판에 사용하는 강판의 두께는 정면으 면적에 따라 다음 표에서 제시하는 값 이상으로 하고, 또한 유효한 방청처리가 되어야 한다.
(3) 외함에는 분전반의 정격전류에 따라 적합한 굵기의 접지선을 접속할 수 있는 접지단자를 설치한다.
1.1.4 도전부
(1) 모선으 분기도체에 띠모양 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도전율 96% 이상의 동을 사용하고, 모선 및 분기도체의 정격전류에 대한 전류밀도는 KSC 8320(분전반 통칙)의 규정에 따른다.
(2) 모선 및 분기도체는 병렬도체로 하여서는 안되며, 병렬도체로 사용하는 경우 정격전류가 400(A)를 넘는 경우에 한하며, 3선 이상의 도체를 병렬접속하면 안다. 또한, 병렬 도체는 동일 굵기, 동일길이의 것으로 한다.
1.2 시공
1.2.1 분전반의 설치
(1) 분전반은 전기회로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 노출된 장소, 안정된 장소 등에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적합한 설치장소가 없을 경우에는 감독관(감리원)과 협의하여 설치장소를 선정한다.
(2) 노출된 충전부가 있는 분전반은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쉽게 출입할 수 없는 장소에 설치 하여야 한다.
(3) 분전반은 건저한 장소에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그 환경에 적응하는 형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분전반의 설치높이는 특기시방서 및 설계도에 의하고, 표기되지 않은 경우에는 바닥에서 함 상단까지 1.8m로 한다.
1.2.2 분전반의 시설
분전반은 컷아웃스위치와 같이 상시 충전부를 노출하지 아니하는 구조의 개폐기(예를 들면, 카버나이프 스위치)또는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적합한 함속에 넣어야 한다.
1.2.3 분전반으 금속프레임등의 접지
분전반을 넣는 금속제의 함 및 이를 지지하는 금속 프레임은 9.14(접지공사)항의 규정에 따라 접지하여야 한다.
1.3 시험 및 검사
1.3.1 제품시험 및 검사
(1) 분전반으 제품시험 및 검사는 4.2.3.1 항의 규정에 따른다.
(2) 절연저항 시험은 500V의 절연저항계를 사용하여 각 충전부 상호간 및 충전부와 비충전금속체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5MΩ이상이어야 한다.
(3) 내전압시험은 분전반의 정격전압 또는 구성기기의 정격전압에 따라서 다음 표의 시험전압에 1분간 견디어야 한다.
1.3.2 시공으 입회 및 검사
각 기기 및 기구가 정상으로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는지 검사하고, 재료, 구조, 마무리, 표시, 부품의 결여 등을 육안, 손으 감촉등에 의해서 조사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시공의 입회 및 검사를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