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세미콜론(;)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구문이 끝날 때 세미콜론( ; )을 붙여야 하지만 파이썬은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다만, 한 줄에 여러 구문을 사용할 때 세미콜론( ; )으로 구분한다.
예)
print("hello")
print("hello") ; print("1234");print("abc")
2. 주석( # )
주석은 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작성하거나, 특정 코드를 임시로 사용하지 않도록 만들 때 사용한다.
한 줄의 주석처리
예)
a+b # a와 b를 더한다.
여러 줄의 주석처리
예)
# 파이썬에서
# 주석처리하는
# 방법
3. 들여쓰기
들여 쓰기는 코드를 읽기 쉽도록 일정한 간격을 띄워서 작성하는 방법으로 파이썬에서는 들여쓰기 가체가 문법이다.
들여 쓰기는 공백 2칸, 공백 4칸, 탭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
if a==10:
print("10입니다.")
4. 코드블록
코드 블록은 특정한 동작을 위해서 코드가 모여 있는 상태를 뜻하며, 파이썬에선 들여 쓰기를 기준으로 코드 불록을 구성한다.
예)
if a==10:
print("10")
print("입니다.")
5. 대소문자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예)
ABC, aBC, abC ... 등은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때문에 서로 다름.
반응형
'파이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나콘다 프롬프트 사용하기 -3 (0) | 2024.04.01 |
---|---|
아나콘다 프롬프트 사용하기 -2 (0) | 2024.04.01 |
아나콘다 프롬프트 사용하기 - 1 (0) | 2024.04.01 |
파이썬 모듈, 패키지, 라이브러리 (0) | 2024.03.01 |
정수의 연산 (0) | 2023.06.08 |
댓글